육아

신생아 출산 혜택 총정리! 모든 부모가 알아야 할 지원금과 혜택

추니추니 2025. 1. 30. 11:47
반응형

출산을 앞두고 계신가요? 새 생명을 맞이하는 기쁨과 함께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출산·육아 지원 혜택을 꼭 챙겨보세요! 오늘은 신생아 출산과 관련된 모든 혜택을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출산 및 양육 지원금

✅ 첫만남이용권

  • 지원금: 200만 원 (국민행복카드로 지급)
  • 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사용처: 병원, 약국, 산후조리원, 육아용품점 등 (유흥업소 제외)
  • 신청: 출생 신고 후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 영아수당 (2024년 개편)

  • 지원금: 월 100만 원 (만 0세 대상, 11개월간 지급)
  • 신청: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

✅ 아동수당

  • 지원금: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 원 지급
  • 신청: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 출산지원금 (지자체별 상이)

  • 지원금: 지역에 따라 10만 원~1,000만 원까지 지급
  • 예시: 서울 강남구 100만 원, 부산 100만 원, 전남 해남군 1,000만 원 등
  • 신청: 거주 지역 지자체 홈페이지 확인

🏡 2. 육아 및 돌봄 지원

✅ 가정양육수당 (어린이집·유치원 미이용 시)

  • 지원금: 연령별 차등 지급
    • 12개월 미만: 월 35만 원
    • 12~24개월: 월 30만 원
    • 24~36개월: 월 25만 원
    • 36개월 이상~86개월 미만: 월 15만 원
  • 신청: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 보육료 및 유아학비 지원

  •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지원, 유치원 이용 시 유아학비 지원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3. 의료비 지원

✅ 신생아 의료비 지원

  • 대상: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 신청: 건강보험공단 또는 지자체

✅ 난임 치료비 지원

  • 체외수정, 인공수정 비용 지원

✅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 지원

  • 대상: 신생아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비용 지원
  • 신청: 출생 후 병원 및 주민센터

💼 4.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지원

✅ 출산휴가

  • 기간: 90일 (다태아 120일)
  • 급여: 고용보험에서 통상임금 기준 지급

✅ 육아휴직

  • 기간: 최대 1년 (부모 각각 사용 가능)
  • 급여:
    • 1~3개월: 통상임금 80% (상한 150만 원)
    • 4~12개월: 통상임금 50% (상한 120만 원)
  • 신청: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회사 인사팀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1일 최소 2시간 근무 단축 가능 (육아휴직 대신 선택 가능)
  • 급여: 최대 1년간 급여 지원

💰 5. 세금 감면 및 기타 혜택

✅ 자녀 세액공제

  • 공제 금액:
    • 1명: 15만 원
    • 2명: 30만 원
    • 3명 이상: 1명당 30만 원 추가 공제

✅ 출산·입양 세액공제

  • 첫째: 30만 원
  • 둘째: 50만 원
  • 셋째 이상: 70만 원

✅ 자동차 취득세 감면

  • 7인승 이상 차량 구매 시 취득세 140만 원 감면

✅ 다자녀 가구 전기·가스요금 할인

  • 3자녀 이상 가구 전기·가스요금 감면

📌 신청 방법 및 유용한 사이트

신청 방법

  1. 복지로 → 온라인 신청 가능
  2. 주민센터 방문 신청
  3. 고용보험 홈페이지 (육아휴직 신청)

유용한 사이트


출산과 육아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혜택이 많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

각 지역별 추가 혜택이 있을 수 있으니 거주 지역 지자체 홈페이지를 확인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