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신생아 BCG 접종이란?
BCG(결핵 예방 백신) 접종은 신생아에게 결핵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하는 예방 접종입니다. 특히 중증 결핵(결핵성 수막염, 속립성 결핵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신생아 BCG 접종 시기
- 생후 4주 이내에 접종하는 것이 권장됨 (가능하면 생후 1개월 이내 접종)
- 늦어도 생후 3개월 이전까지 접종하는 것이 좋음
- 생후 3개월 이후 접종할 경우 결핵 피부반응검사(TST, 투베르쿨린 검사) 후 이상 반응이 없는 경우 접종 가능
3. BCG 접종 방법: 경피용 vs. 피내용 차이점
BCG 접종은 경피용과 피내용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방식에 따라 백신 종류와 접종 방법이 다릅니다.
구분경피용(도장형)피내용(주사형)
접종 방법 | 피부에 바늘로 도장을 찍듯이 백신을 도포 | 주사기로 피부 안쪽에 백신을 주입 |
흉터 여부 | 흉터가 거의 남지 않음 | 접종 부위에 흉터(반흔)가 생길 가능성 높음 |
면역 효과 | 면역 효과는 있으나 피내용보다 약할 수 있음 | 면역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강함 |
부작용 | 국소적인 염증 반응이 적음 | 염증 반응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음 |
권장 연령 | 생후 4주 이내 접종 가능 | 생후 4주 이내 접종 권장 |
국가 무료 지원 여부 | 무료 지원 대상 아님 (비용 부담) | 무료 지원 가능 |
⚠ 대한민국에서 국가필수예방접종(NIP)으로 지원하는 BCG는 피내용 방식입니다.
- 경피용 BCG는 개인 비용 부담이 있으며, 일부 의료기관에서만 접종 가능합니다.
4. 경피용과 피내용의 장단점
✅ 경피용 BCG(도장형) 장단점
✅ 장점
- 흉터가 거의 남지 않음
- 부작용(염증, 궤양 등)이 상대적으로 적음
❌ 단점
- 면역 효과가 피내용보다 다소 낮을 수 있음
- 국가 지원이 되지 않아 비용 부담 (약 7~10만 원 수준)
✅ 피내용 BCG(주사형) 장단점
✅ 장점
- 면역 효과가 더 우수함
- 국가 무료 접종 지원 가능
❌ 단점
- 접종 부위에 염증, 고름 등이 생길 가능성이 높음
- 흉터가 남을 가능성이 큼
5. BCG 접종 예약 방법
- 보건소에서 피내용 BCG 무료 접종 예약
-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https://nip.kdca.go.kr/)에서 예약 가능
- 지역 보건소에 직접 방문 또는 전화 예약 가능
- 소아청소년과 병원에서 경피용 또는 피내용 접종 예약
- 개인 병원에서는 경피용 BCG 접종 가능 (비용 발생)
- 일부 병원에서는 피내용 BCG도 접종 가능하므로 사전 문의 필수
- 접종 당일 준비물
- 아기 주민등록번호 및 예방접종 수첩(기록용)
- 접종 후 휴식할 시간 확보 (예방접종 후 이상 반응 확인 필요)
6. BCG 접종 후 주의 사항
- 접종 후 일시적인 발적과 부어오름이 나타날 수 있음
- 피내용의 경우 2~4주 후 주사 부위에 고름(농양) 발생 가능
- 자연적으로 치유되므로 짜거나 건드리지 말 것
- 경피용 접종 후에는 물과 비누로 씻어도 무방
- 피내용은 접종 부위를 문지르거나 물에 닿지 않도록 주의
- 고열, 심한 발진, 호흡 곤란 등의 이상 반응 시 즉시 병원 방문
- 흉터 관리 (피내용 접종 시)
- 일부 흉터 크림(예: 마데카솔) 사용 가능하나, 의사 상담 후 적용 권장
7. 결론
BCG 접종은 신생아의 결핵 예방을 위한 필수 예방 접종으로, 생후 4주 이내 접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피내용은 국가 무료 지원이 가능하며 면역 효과가 강한 반면, 흉터가 남을 수 있습니다. 반면, 경피용은 흉터가 적고 부작용이 적지만 비용이 발생합니다. 접종 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고, 접종 후 주의 사항을 철저히 지켜 건강한 면역 형성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땀띠 증상, 치료, 예방 방법 (21) | 2025.03.04 |
---|---|
아이 해열제 종류, 교차 복용 시간, 열 내리는 효과적인 방법 및 주의점 (21) | 2025.03.04 |
돌잡이뜻과 돌잔치 상의 종류 (22) | 2025.03.04 |
모유 단유하는 방법과 아기 모유 끊는 방법, 단유 시 좋은 음식과 마사지 방법 (16) | 2025.03.04 |
아기 범보의자 사용 시기와 추천 제품, 주의사항 (19) | 2025.03.04 |